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백악관에서 한미 정상회담을 가졌습니다. 이 대통령이 취임 후 82일 만에 이뤄지는 첫 한미회담입니다. 양 정상 간 첫 상견례 자리였지만, 회담 전부터 트럼프 대통령이 사회관계망서비스(SNS) 글과 발언을 통해 한국에 대한 의구심을 드러내면서 과정은 순탄치 않았습니다.
양 정상은 이날 오후 백악관 트럼프 대통령 집무실(오벌 오피스)에서 열린 회담에서 한미 조선 협력을 가장 먼저 강조했습니다. 지난달 말 한미 관세 협상 타결에 결정적 역할을 했던 마스가 프로젝트를 첫 대화 의제로 올리면서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 기업들이 미국 내 조선소 설립을 검토하고 있다”며 “한국에서 선박을 구매할 뿐만 아니라 미국에서도 미국 인력을 활용해 한국 기업과 함께 선박을 건조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미국에서) 조선 분야뿐 아니라 제조업 분야에서 르네상스가 이뤄지고 있으며 그 과정에 한국이 함께 하길 기대한다”고 화답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이 한반도 평화를 만들어 주시면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도 만나달라”며 “북한에 트럼프 월드도 만들어 저도 거기서 골프를 치게 해주고 세계사적으로 평화 메이커로서 역할을 해주길 기대한다”고 했습니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피스 메이커’를 한다면 나는 ‘페이스 메이커’를 하겠다”며 한미 협력을 강조했습니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김 위원장과의 친분과 (김 위원장을 만난) 판문점에 다시 갈 수 있다는 의향을 밝히며 “그렇게 하겠다. 그(김정은)를 만나길 기대하고 있고 관계를 개선하도록 하겠다”고 했습니다. 김 위원장을 언제 만날 것이냐는 질문에는 “올해 그(김 위원장)를 만나고 싶다”며 가급적 이른 시일 내에 만나 북미대화에 나설 뜻을 드러냈습니다.
이 대통령은 또 “든든한 한미동맹을 기반으로 대한민국이 성장·발전해 왔고 앞으로도 한미 동맹을 군사 분야뿐 아니라 경제 분야, 과학기술 분야까지 확장해 미래형으로 발전했으면 좋겠다”며 이른바 동맹현대화에 대한 우리 정부의 입장을 소개했습니다.
화기애애했던 분위기에서 진행된 회담과 달리 회담 전엔 돌발 상황도 벌어졌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회담 3시간 전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 “한국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나? 숙청이나 혁명처럼 보인다”라며 “그런 상황에서 거기서 제대로 사업을 할 수 없다”고 적으면서입니다. 회담 직전 전국에 추진 중인 ‘범죄와의 전쟁’ 관련 조치에 대한 행정명령을 서명한 자리에선 SNS 글과 관련한 미 언론의 질문에 “지난 며칠 동안 한국의 새 정부가 교회를 수색하고 우리 군 기지에 들어와서 정보를 수집했다는 소식을 들었다”며 “사실 여부를 확인해 보겠다”고 했습니다. 이에 이 대통령은 회담에서 “특검이 친위 쿠데타에 대한 사실조사를 한 것”이라며 “(압수수색은) 미군이 아니라 한국군을 확인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 지금, 이슈의 현장을 실시간으로!
☞JTBC 모바일라이브 시청하기 https://www.youtube.com/@jtbc_news/streams
☞JTBC유튜브 구독하기 (https://www.youtube.com/user/JTBC10news)
☞JTBC유튜브 커뮤니티 (https://www.youtube.com/user/JTBC10news/community)
#JTBC뉴스 공식 페이지 https://news.jtbc.co.kr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jtbcnews
X(트위터) https://twitter.com/JTBC_news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jtbcnews
☏ 제보하기 https://news.jtbc.co.kr/report
방송사 : JTBC (https://jtbc.co.kr)
source